제어문은 일반적인 순차 실행과 선택문 그리고 반복문이 있다.
그 중에 선택문인 if를 먼저 보자.
만약 학생의 점수가 60 이상이면, "Passed"를 찍어라. 를 C++로 표현한다면 아래와 같다.
if (studentGrade >= 60)
cout << "Passed";
위와 같이 단일 선택인 경우도 있지만, 선택이 여러 경우로 나뉘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는 else를 사용하자.
만약 학생의 점수가 60이상이면, "Passed"를 찍고, 그렇지 않으면, "Failed"를 찍어라 와 같은 경우를 C++로 표현한다면 아래와 같다.
if (studentGrade >= 60)
cout << "Passed";
else
cout << "Failed";
위의 예제는 두 가지 선택의 경우이고, 더 많은 선택의 경우를 보자.
만약 학생의 점수가 90 이상이면, "A"를 찍고,
그렇지 않고,
만약 학생의 점수가 80 이상이면, "B"를 찍고,
그렇지 않고,
만약 학생의 점수가 70 이상이면, "C"를 찍고,
그렇지 않고,
만약 학생의 점수가 60 이상이면, "D"를 찍고,
그렇지 않으면, "F"를 찍어라 를 C++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if (studentGrade >= 90) {
cout << "A";
}
else {
if (studentGrade >= 80) {
cout << "B";
}
else {
if (studentGrade >= 70) {
cout << "C";
}
else {
if (studentGrade >= 60) {
cout << "D";
}
else {
cout << "F";
}
}
}
}
위와 같은 코드는 들여쓰기가 좀 늘어나는 경향이 있어서, 아래와 같이 일반적으로 표현한다.
if (studentGrade >= 90) {
cout << "A";
}
else if (studentGrade >= 80) {
cout << "B";
}
else if (studentGrade >= 70) {
cout << "C";
}
else if (studentGrade >= 60) {
cout << "D";
}
else {
cout << "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