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위와 같이 열이 바뀔 때마다 하나씩 개수를 증가시켜 문자를 찍어 삼각형을 만들어 보자.
열의 수는 7개, 첫 열의 문자는 1개, 하나씩 증가하여 최종열의 문자열의 개수는 7개이다.
2중 루프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여기서는 열 번호와 문자열의 개수가 동일하다는 것에 주목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면 된다.
for i in range(0, 7):
for j in range(0, i + 1):
print('*', end = '')
print()
위의 프로그램을 설명하면,
우선, i의 변화 값과 j의 변화 값을 살펴보면 된다. (즉, 실행 회 수)
i는 0에서 6까지 1씩 증가한다. (즉, 7회 실행된다.)
j는 0에서 i + 1까지이니, 매번 실행 회수가 바뀐다. (1회에서 7회까지 한 회씩 증가한다.)
처음 i가 0일 때, j는 0 한번만 실행이 된다.
i가 1일 때, j는 0, 1 두번 실행 된다.
i가 2일 때, j는 0, 1, 2 세번 실행 된다.
.
.
.
최종 i가 6일 때, j는 0, 1, 2, 3, 4, 5, 6 일곱번 실행된다.
print('*', end = '')
여기서 end = ''는 줄바꿈 하지 않기 위한 것이고,
그래서 내부 루프가 종료하면, print()를 사용하여 줄바꿈을 해 주게 된다.